SAP ERP 프로젝트를 할 때 Logistics를 담당했다고 하니 SCP와 MRP를 물어보는 분이 계셨습니다. 저는 생산관리 보다는 설비관리 전문가이고 생산부문에는 공정개선과 최적화에 전문성이 있지 수요계획과 S&OP, 생산관리에는 정말 기본적인 지식만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본지식으로 답변을 했습니다.
생산관리를 하면서 별로 중요하지 않는 히스토리를 이야기하니 전문가 다왔나 봅니다. MRP 1과 MRP 2가 나오게된 배경 그리고 ERP가 나와야 했던 이야기는 산업발전과 설비관리와도 관계가 됩니다. 그 역경의 시대의 증인들이 이제 2030년 안에 현장에서 거의 사라질 것 같습니다.
제품보다 상품 비중이 너무 커서 마케팅이 발전하지 못한 산업 환경에서 경제 대국이 된 역사를 보면 우리 스스로도 놀라운 이야기입니다.
지인에게 했던 MRP 1,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https://m.blog.naver.com/yhs5719/222295759899
MRP에 대해서
MRP라는 약어는 공장 생산관리나 사업기획 등의 일을 하는 분들은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MRP의 Fu...
blog.naver.com
'생산관리와 설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설비관리 전략 스케치는? (0) | 2022.01.31 |
---|---|
환경법 상 플랜트 가스 누출과 스탁을 관리해야 한다 (0) | 2021.09.23 |
안개는 걷히기 위해 핀다 (0) | 2021.03.13 |
스마트팩토리 전략에 공무조직 일부 아웃소싱은 가능한 전략이다 (0) | 2021.03.11 |
예지보전, 너무 쉽게 접근하고 있는거아냐?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