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쿠르트

(3)
우리 교육의 시작은 가정에서 Wisdom is not a product of schooling, but of the life-long attempt to acquire it. (지혜는 학교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평생 노력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교육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말입니다. 교육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면서 현실과 이상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느낍니다. 청소년들과 청년들이 잘 못 자랐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예의도 있고 정도 있습니다. 뉴스와 SNS에 떠도는 그런 친구들은 극히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아직까지 우리의 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잘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처럼 나와 우리를 같이 생각하기보다는 나만 중요한 친구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에 '왕따'가 나타나고 감정을 이기지 못해 문제를 만드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
교육, 가르침은 가르침을 받은 데서 시작한다 지난 15일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를 다시 봤습니다.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생각도 했지만 교육을 어디에서 받는가도 펴 교육생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게 했습니다. ​ 그래서 배움에 대해 잠시 써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따듯한 차와 도우넛을 먹으면서 예정된 강의자료들을 펴 보고 있습니다. 같은 곳에서 반복하는 강의도 한 달 이상 시간 차이가 나면 내용을 보완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같은 주제의 강의라도 대상이 누구인가에 따라 매번 강의자료를 다시 보완하고 있습니다. 나는 돈을 받고 전달하고 오면 되지만 내 강의를 듣는 분들 중에는 이 강의가 인생에 지금 일에 큰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분들이 듣고 싶은 말을 해..
DT 프로젝트를 위한 인재 선발은? 얼마전에 한 기업 인사팀에서 4차 산업혁명을 하는 팀장을 선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느냐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작년에도 한 기업에 도움을 준 적이 있습니다. 사람을 뽑는다는 것은 그리 쉽지도 유쾌하지도 않은 일입니다. *DT: 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변혁 기업은 대상에 대해 기본적인 스펙을 정하고 저는 업과 관련된 스펙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스펙의 영향을 무시할 수 앖는 것 같습니다. 학벌과 나이가 아직도 기준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서 안따까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저는 나이를 10살이나 내려야 가능한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람을 뽑을 때는 다음 세가지를 고려합니다. 첫째, 나는 어떤 사람을 뽑으려 하는가?​ 여기에 기본 스펙이 필요합니다. 대학명 보다는 전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