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싱킹 전문가 과정을 이수하고 러시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인 TRIZ와 비교하는 가운데 두 방법론의 특성을 융합한 과정을 만든다면 각각의 부족한 방법론을 보완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새로운 과정을 만들었습니다.
시간은 더 줄이면서 듣는 자의 생각의 틀부터 깨트리는 내용으로 했습니다.
아직 제안만 하는 과정이라 내용은 교육이 진행되면서 소개를 더 하겠습니다.
디자인 싱킹은 제품(Product)과 고객에 Focus를 한 고객 중심의 아이디어 도출 방법론입니다.
과정 내에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보다 집단지성에 의존하는데 중요한 것은 팀에 들어오는 구성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TRIZ는 프로세스와 모순 극복에 Focus를 한 아이디어 도출 방법론입니다.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에 따라 접근 방법이 다릅니다.
하지만 생각을 배가시키는 접근 원리는 감탄사를 내놓을 정도로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TRIZ라는 방법론이 뛰어나지만 러시아의 방법론이라는 것이 확산에 걸림돌이었다고 봅니다.
하지만 국내에도 삼성전자의 경우 TRIZ Level 5(Master)가 몇 분이 계십니다.
저는 TRIZ Level 3로 인증을 주는 과정은 아니지만 교육이 가능합니다.
이번에 시작하는 새로운 과정은 문제 본질 파악을 더 강화하였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디어의 도출은 문제가 어떻게 분석되었는지 본질이 어떻게 파악되었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부분은 문제 본질 파악에 있습니다.
몇 달 전에 IBM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대한 몇몇 Q&A 글이 생각납니다.
IBM의 특별 디자이너인 더그 파웰은 디자인 분야에서 30년간 폭넓게 경력을 쌓은 디자이너입니다.
시각 디자이너 경영, 교육자, 커뮤니티 기획자와 같이 다양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의 전문 디자인 협회인 AIGA의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비즈니스에서 디자인이 강조되는 추세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더그 파웰: "흥미로운 질문이다. IBM은 20세기 중반부터 디자인에 초점을 맞췄다. 1950년대~1970년대 IBM 회장이었던 토마스 왓슨 주니어는 "좋은 디자인은 좋은 비즈니스(Good design is good business)"라는 명언을 남기면서, 디자인을 강조했다."
디자인 사고란 무엇인가? 기업의 업무 방식, 문화, 프로세스 중 무엇인가?
더그 파웰: "디자인 사고를 업무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다. IBM 디자인 프로그램은 지속 가능한 디자인 문화와 디자인 사고를 창조한다는 목표를 추구한다. 이의 중심 단어는 '문화'이다. 문화란 조직 행동, 협력, 협업, 존재 방식이다."
디자인 사고가 고객 관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더그 파웰: "고객 관계의 'DNA'를 바꾸고 있다. 디자인 사고에 대한 '오해' 한 가지는 문제 해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접근법이다. 그러나 문제 파악과 분석이 더 중요한 부분이다. 해결하려는 문제가 관련성이 있는 문제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인공 지능과 고급 분석 같은 새로운 기술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더그 파웰: "AI와 인지 컴퓨팅은 IBM이 왓슨 플랫폼을 중심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기술 영역이다. 또 디자이너들에게도 흥미로운 기술 영역이다. 디자이너는 이들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창조해야 한다."
디자인 사고와 관련된 '함정'은 무엇인가?
더그 파웰: "프랙티스 자체를 지나치게 중시, 여기에 발목을 붙잡히는 경향과 위험이 있다. 현재 기술 제품 및 서비스 전달에 필요한 핵심 원칙과 요구 사항 중 하나는 지속적인 전달이다. 지속적으로 경험을 개선해 전달해야 한다. 그런데 원래 디자인 사고는 이를 감안해 만들어지지 않았다."
디자인 사고가 현대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더그 파웰: "디자인 사고는 제품 및 서비스 담당 팀과 마케팅 담당자 사이의 '간극'을 없애 준다. 디자인 사고는 사람을 이해하고, 이들에 대한 좋은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다."
일반 기업에는 디자이너가 없습니다.
그런 곳에는 디자인 사고가 있을 수 있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적습니다.
TRIZ보다 디자인 싱킹은 고객 중심이기에 비즈니스에 대한 문제까지도 접근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제 기업들도 R&D나 공장의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검토뿐 아니라 본사의 비즈니스를 위한 디자인 사고를 발전시킬 교육에 눈을 돌려야 합니다.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육류에서 본 식품계 패러다임의 변화 (0) | 2019.07.17 |
---|---|
조직명만 바뀐 제조혁신추진단이 아닌 시대를 읽는 추진단이 되기를 (0) | 2019.07.11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출범, 중장기 전략은 만들 수 있는 것일까? (0) | 2019.07.03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행복이 무엇일까? (0) | 2019.07.02 |
스마트 펙토리를 하려는데, 무엇부터 해야 하나? (0) | 2019.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