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특히 공장에서는 이제 데이터가 쌓이고 이제 데이터로 무엇인가를 해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첫 발을 내딛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빅데이터를 이야기하다 보니 모두가 빅데이터에만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공장은 빅데이터가 불필요하고 통계분석 정도만 잘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빅데이터의 분석방법이 바로 통계적 분석 방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빅데이터 네 번째 포스팅입니다.
스마트팩토리연구소 블로그: https://blog.naver.com/yhs5719/221738607498
분석 기획을 하는 단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본 단계는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나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분석 기회 발굴 단계입니다.
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무슨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가?'를 찾는 단계입니다.
왜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가?
그 문제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두 번째 단계는 상세설계를 하는 단계로 구체화 단계입니다.
첫 단계에서 식별된 문제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한 절차와 적용할 방법, 기술 등을 정의합니다.
세 번째 단계는 Roadmap을 작성하는 마스터플랜 단계입니다.
다양한 과제들을 자원 내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행 일정 계획을 수립합니다.
'효과적'이란 단어와 '효율적'이란 단어의 차이를 아십니까?
Cost와 관련된 것은 효율이고 편리성이나 개선 등과 관련된 것은 효과적인 것으로 사용합니다,
이 단계에서 과제가 추가로 발굴되기도 합니다.
첫 단계로 분석 기회 발굴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회 발굴의 방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Top-Down 방식으로 전사 중심으로 수행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여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분석 기회를 발굴합니다.
>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 비즈니스 모델 상세화 → 핵심 분석 기회 도출
2) Bottm-Up 방식으로 프로세스 중심으로 수행되는 방식입니다.
특정한 업무 역역을 대상으로 주제를 정하여 분석 기회를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 프로세스 분류 → 프로세스 흐름 분석 → 분석 요건 식별 → 분석 요건 정의
3) 벤치마킹 방식입니다.
이미 성공한 사례를 벤치마킹해서 분석 기회를 발굴하는 방식입니다.
이들 방식은 독립적이지 않고 혼용을 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의 가려운 곳이 어디일지 데이터로 볼 수 있다면 (0) | 2019.12.20 |
---|---|
버릴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IT 강국, 조선과 해운의 강국 장보고를 부를 때는 (0) | 2019.12.19 |
60세에 퇴직해도 청년 실업자가 되나? (0) | 2019.12.14 |
왜 우리 회사는 스마트팩토리를 해야 하나? (0) | 2019.12.12 |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현업 교육은 이렇게 해 보십시요 (2) | 2019.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