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2) 썸네일형 리스트형 TPM의 꽃, 자주보전 설비관리 전문가 중에 Terry wireman이 있습니다. 이 분의 저서 중에 공무조직의 설비관리 진단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참고로 저의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설비관리 진단 절차와 같이 '스마트팩토리 설비관리 전략' 교육 과정에서 상세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Terry wireman의 진단 후반부에 Operator의 설비관리 참여에 대한 항목이 나옵니다. 단지 Cleaning 작업만 하는 것부터 진단항목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자주보전 설비관리의 주인은 생산부서이고 또한 운전의 주체도 생산부서입니다. 따라서 자신들의 설비를 깨끗하게 하고 이상이 있는지 관찰하는 것은 생산에서 해야 합니다. 그런 애착을 가지고 검토되야 하는 것이 자주보전입니다. 하루 24시간 중 정상근무 시간 8시간을 제외한 16시간.. 국내 설비관리 어디로가나? 생산공정개선 방법론과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 설비관리 추진 전략도 제가 직접 만들어서 장치산업에 적용한 것이 있어 컨설팅도 가능하지만 많은 man-power와 stress를 동반해야 하기에 히든카드로 하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저의 히든카드는 좋기보다는 나쁜 면이 큽니다. 지난주에 어느 한 분이 '현장 중심의 설비관리' 도서를 읽고 메일로 문의를 하였습니다. 현장 중심의 설비관리는 2016년에 제가 쓴 책입니다. 전문서적으로 베스트셀러는커녕 연간 30권 판매도 힘든 도서로 판단해서 비매품으로 200권은 인쇄하고 300권은 전자파일로 나누어 드렸습니다. 70권 정도는 삼성경제 연구원 SERI 사이트와 저의 블로그에서 다운로드해 가셨습니다. 그래서 설비관리에 대한 문의가 가끔 오고 있습니다. 국내 설비관.. 이전 1 다음